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글을 뜻하는 순우리말이 있다?! 반절표는 또 뭐지?
    순우리말 2019. 5. 18. 22:24

    오늘은 '한글'에 대해

    포스팅을 해볼게요~

     

    앞으로 순우리말에 대한

    포스팅을 하겠다더니

    왜 한글을 설명하냐고요?

     

    바로 한글을 뜻하는

    순우리말이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랍니다.

     

    먼저 네이버 포털에서 검색한

    한글의 정의부터 살펴볼게요!

     

     

    한글

    세상에서 가장 신비한 문자

    위대한 문화유산

     

    세계 문자 가운데 한글,

    훈민정음은 흔히들

    신비로운 문자라 부르곤 합니다.

    그것은 세계 문자 가운데

    유일하게 한글만이

    그것을 만든 사람과

    반포일을 알며,

    글자를 만든 원리까지

    알기 때문입니다.

     

    세계에 이런 문자는 없습니다.

    그래서 한글은, 정확히 말해

    [훈민정음해례본](국보

    진즉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한글’이라는 이름은 1910년대 초에

    주시경 선생을 비롯한 한글학자들이

    쓰기 시작한 것입니다.

     

    여기서 ‘한’이란 크다는 것을 뜻하니,

    한글은 ‘큰 글’을 말한다고 하겠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한글 - 세상에서 가장 신비한 문자

    (위대한 문화유산, 최준식)

     

     

    앞으로도 지켜나가야 할

    우리의 언어죠~

     

     

    그런 소중한 한글을

    뜻하는 순우리말은 무엇일까요?

    바로바로!!

    '가갸글'

    이라고 합니다.

    순우리말 사전에서는 가갸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을까요?

     

    (한글이 가갸거겨로 시작되는 데서)

    '한글'을 이르는 말

     

    한글에는 자음과 모음이 있죠.

    예로부터 한글을 공부할 때

    자음과 모음을 하나씩 배열해서

    공부했었습니다.

     

     

    한글교육에 쓰이던 

    반절표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반절표 혹은 반절본문

    이라고 말하며 훈민정음(한글)을

    반절식으로 배열한 표입니다.

     

    반절은 한자음을 나타내기 위해

    윗글자의 성과 아랫글자의 운

    합해서 다른 하나의 음을

    나타내는 방식입니다.

     

    우리나라의 반절표는

    최세진의 '훈몽자회'에 연원이 있어요.

    훈몽자회 범례에 보면

    ‘언문자모속소위반절27자’라 하고,

    ‘초중성합용작자례 가갸거겨고교구규그기’를

    든 다음 ‘가’에 ㄱ받침을 하면

    ‘각’이 된다 하고

    나머지는 이를 본받는다 했습니다.

     

    다음으로, ‘초중종3성합용작자례 간갇갈감갑갓’을 들어

    ‘가갸’식으로 176자(초성16×중성11)를 만들고

    이하 7음을 종성으로 삼아

    글자를 만든다 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반절표 [反切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말이 너무 어렵죠?

     

    세칭반절표를 보시면

    이해가 되실 거예요.

     

    세칭() 반절표 

     

    ㄱㄴㄷㄹㅁㅂㅅㅣㅇ

    가갸거겨고교구규그기 과궈

    나냐너녀노뇨누뉴느니 놔눠

    (중략)

    하햐허혀호효후휴흐히 화훠

     

    와 같은 표를 말하는데요,

    이 반절표를 가지고

    한글을 지도해온 것입니다.

     

    오늘은 가갸글과 한글 공부법인

    반절표도 알아봤는데요.

     

    어떤 외국인이든 1 시간 안에

    자기 이름을 한글로 배워서

    쓸 수 있을 만큼 과학적이라서

    배우기 쉬운 우리 한글.

     

    반포 450년 후에나

    우리 글로 인정받은 한글.

     

     

    앞으로 우리가 더욱 아끼고

    바르게 사용해요 ^0^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Designed by Tistory.